맨위로가기

아슈르나시르팔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한 왕으로, 대규모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북쪽의 소아시아 민족과 아람, 페니키아를 정복하고 조공을 받았으며, 유프라테스 강과 디얄라 강을 따라 원정을 감행했다. 잔혹한 통치로 악명이 높았으며, 반란자에 대한 가혹한 처형과 정복지 착취를 통해 공포 정치를 펼쳤다. 칼후(님루드)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궁전과 신전을 건축하여 예술 발전을 이끌었으며, 님루드 부조와 발라와트 문과 같은 유물을 남겼다. 그의 유물들은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고학적,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지만, ISIL에 의한 님루드 유적 파괴로 문화 유산 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디도 (카르타고)
    디도는 카르타고를 건설한 전설적인 인물로, 오빠 피그말리온에 의해 남편이 살해된 후 아프리카 해안으로 도망쳐 카르타고를 건국했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이아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가 묘사된다.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아시리아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아시리아 - 아슈르바니팔
    아슈르바니팔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 문화와 예술을 장려하고 니네베에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을 세웠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시리아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으나 그의 사후 제국은 쇠퇴하였다.
  • 아시리아의 왕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아시리아의 왕 - 아슈르바니팔
    아슈르바니팔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 문화와 예술을 장려하고 니네베에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을 세웠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시리아는 최대 영토를 확보했으나 그의 사후 제국은 쇠퇴하였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
기본 정보
아슈르-나시르-팔 2세 (가운데)는 성공적인 전투 후 고위 관리를 만난다.
칭호아시리아의 왕


재위 기간기원전 883년 – 기원전 859년
선임자투쿨티-니누르타 2세
후임자살만에세르 3세
아버지투쿨티-니누르타 2세
배우자물리수-무칸니샤트-니누아
출생일기원전 910년
사망일기원전 859년
왕조
계승신아시리아 제국의 왕

2. 통치와 업적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883년에 아버지 투쿨티-닌우르타 2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는 대규모 정복 사업을 통해 아시리아 제국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그는 잔혹함으로 유명했으며, 그의 기념비문에는 정복지에서 벌인 잔혹 행위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19]

이러한 잔혹 행위는 반란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이틀간의 전투 끝에 반란을 진압했다.

그는 정복 사업 외에도 예리한 행정가로서 제국 내에 아시리아인 총독을 임명하여 통치력을 강화했다. 또한 수도를 칼후(님루드)로 옮기고, 포로 노예들을 동원하여 대규모 건설 사업을 벌였다. 그가 건설한 궁전, 신전 등은 당시 아시리아의 부와 예술 수준을 보여준다.

2. 1. 군사 원정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즉위 초부터 대규모 원정을 시작했다. 먼저 북쪽 소아시아 지역의 민족들을 정복하고 나이리까지 진출했으며, 프리기아로부터 조공을 받았다.[2] 이후 아람(오늘날의 시리아)을 침략하여 하부르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아람인과 신히타이트인을 정복했다.[3]

지중해까지 저항 없이 진격하여 페니키아로부터 조공을 받아냈다.[4] 이토바알 1세가 통치하던 티레 공략에는 실패했지만, 키프로스, 에게 해, 로도스, 밀레투스 전역의 무역로를 장악하고 있던 티레로부터 조공을 받아내는 데는 성공했다.[5]

그는 정복지에서 잔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는데, 포로와 반란자들을 가혹하게 처형하고 그 참상을 기록으로 남겨 공포를 확산시켰다.[6] 그의 기념비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4]

> 나는 그들의 젊은이와 노인들을 포로로 잡았다. 그들 중 일부의 발과 손을 잘라냈다. 또 다른 이들의 귀, 코, 입술을 잘라냈다. 젊은이들의 귀로 더미를 만들었고, 노인들의 머리로 첨탑을 만들었다. 나는 그들의 머리를 그들의 도시 앞에 전리품으로 전시했다. 남자아이들과 여자아이들은 불에 태워 죽였으며, 그 도시를 파괴하고 불태웠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정복한 영토의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키고, 이전보다 더 많은 세금과 공물을 부과했다.[6]

2. 2. 행정과 통치 방식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정복한 지역에 아시리아인 총독을 임명하여 제국을 다스리는 강력한 통치 방식을 확립했다. 현지 지배자에게 의존하는 대신, 아시리아인 총독을 통해 직접 통치함으로써 반란의 위험을 줄이고 제국의 안정성을 높였다.[5]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군대를 이끌고 시리아 북부의 히타이트아람 국가들을 정복했다.[5] 페니키아가나안의 도시들은 파괴하지 않았지만, 티레 포위에는 실패했다. 티레는 이토바알 1세의 지배 아래 키프로스키티온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에게해를 통해 로도스와 밀레토스 사이에 교역로를 개척한 강력한 도시였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이들 도시로부터 조공을 받아 군사비와 건설 사업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했다. 무기 제작에는 이, 건축에는 레바논 삼나무가, 군대 급여에는 이 사용되었다.[6]

정복된 지역의 백성들에게는 이전보다 더 많은 조공과 세금이 부과되었다. 여기에는 말, 노새, 황소, 양, 포도주와 같은 물품뿐만 아니라 강제 노역도 포함되었다.[6] 이러한 가혹한 통치는 백성들에게 큰 고통을 주었지만, 아시리아 제국의 재정을 튼튼하게 하고 대규모 건설 사업을 가능하게 했다.

3. 칼후(님루드) 건설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칼후(Kalhu, 현재의 이라크 북부 모술에서 약간 남쪽에 위치)를 새로운 수도로 정하고 대규모 건설 사업을 벌였다. 기원전 878년경에 건설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며,[9] 기원전 864년경, 중기 아시리아 도시의 거의 완전한 재건과 함께 약 15년 만에 완공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0][11] 그의 기념비문에는 이틀간의 전투 끝에 진압된 반란과 학살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9]

군사적 승리 이후, 그는 저항 없이 지중해까지 진출하여 페니키아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본국으로 돌아와 수도를 칼후(님루드)로 옮기고, 포로 노예를 동원하여 대규모 건설 사업을 벌여 궁전, 신전 등 많은 기념물을 건설했다. 이는 아시리아의 부와 예술적 발전의 확대를 보여준다. 그는 현지 지배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아시리아인 총독을 임명하는 등 효율적인 관리자로서 제국 내 지배력을 강화했다.

3. 1. 칼후 궁전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칼후(Kalhu, 현재의 이라크 북부 모술에서 약간 남쪽에 위치)에 있는 궁전은 기원전 878년경에 건설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며,[9] 기원전 864년경, 중기 아시리아 도시의 거의 완전한 재건과 함께 약 15년 만에 완공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0][11] 궁전 벽에는 설화 석고로 조각한 부조가 줄지어 있었다. 이 부조들은 정교한 조각을 담고 있었으며, 대부분 날개 달린 수호 영령에 둘러싸인 왕, 사냥을 하거나 원정에 나선 왕을 묘사했다.

각 부조에는 텍스트가 새겨져 있었다. 이 텍스트는 각 부조마다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며, 따라서 표준 비문이라고 불린다. 표준 비문은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가계를 3대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의 군사적 승리를 이야기하고, 제국의 경계를 정의하며, 칼후를 어떻게 건설하고 궁전을 지었는지 설명한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또한 님루드에 거대한 관문을 건설했다.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는 1840년대에 칼후를 발굴하여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북서 궁전을 발견했다. 오늘날, 님루드에서 발굴된 많은 부조와 조각품들이 영국 박물관(British Museum), 런던의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조상과 살마나세르 3세의 검은 오벨리스크가 포함되어 있고, 다른 부조들은 유럽(예: 국립 이집트 미술관(Staatliche Sammlung für Ägyptische Kunst), 뮌헨), 일본, 미국 등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부조 이미지들은 기원전 870년경에 일정한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부조가 없는 석판을 포함하여 각 석판에는 표준 비문이라고 불리는 것이 새겨져 있었다. 이 비문에는 왕의 다양한 이름과 칭호가 적혀 있었고, 신들과의 관계를 언급했으며, 그의 군사적 정복을 요약했다. 또한 이 비문은 칼후의 건국에 대해 설명하고 궁궐 자체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부조가 있는 석판은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왕실 이데올로기를 묘사하고 있다.

묘사된 인물과 동물들의 해부학에 특별한 관심이 있다.[14] 왕의 사냥 장면은 님루드 부조 중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일부이며, 특히 아슈르나시르팔 2세가 사자를 사냥하는 장면이 그렇다. 많은 장면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뚜렷한 관심도 나타난다. 여러 묘사에서 왕은 동물과 인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초자연적인 존재와 함께 묘사된다. 궁궐의 문을 장식했을 모든 주술적인 묘사는 이러한 인간과 동물의 혼합물이었다.

3. 2. 님루드 부조

님루드에서 발견된 이 부조는 날개 달린 정령이 솔방울을 들고 왕을 축복하고 있다. 볼티모어, 월터스 미술관 소장.


즉위한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사자 사냥. 베를린, 페르가몬 박물관 소장.


님루드의 부조


님루드 부조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 시대의 예술과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부조에는 왕과 신들의 관계, 군사적 승리, 아시리아인의 가치관 등이 묘사되어 있으며, 특히 인간과 동물의 해부학적 표현이 주목할 만하다.[13][14]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궁전 벽에는 설화 석고로 조각한 부조가 줄지어 있었다. 이 부조들은 정교한 조각을 담고 있었으며, 대부분 날개 달린 수호 영령에 둘러싸인 왕, 사냥을 하거나 원정에 나선 왕을 묘사했다. 각 부조에는 텍스트가 새겨져 있었는데, 이 텍스트는 각 부조마다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여 표준 비문이라고 불린다. 표준 비문은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가계를 3대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의 군사적 승리를 이야기하고, 제국의 경계를 정의하며, 칼후를 어떻게 건설하고 궁전을 지었는지 설명한다.

부조가 있는 석판은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왕실 이데올로기를 묘사하고 있다. 이 이데올로기는 왕의 군사적 성공, 신에 대한 봉사(이는 신의 보호와 아시리아의 번영을 제공했다)라는 네 가지 주요 아이디어로 분류할 수 있다.[13]

묘사된 인물과 동물들의 해부학에 특별한 관심이 있다.[14] 왕의 사냥 장면은 님루드 부조 중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일부이며, 특히 아슈르나시르팔 2세가 사자를 사냥하는 장면이 그렇다. 많은 장면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뚜렷한 관심도 나타난다. 여러 묘사에서 왕은 동물과 인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초자연적인 존재와 함께 묘사된다. 궁궐의 문을 장식했을 모든 주술적인 묘사는 이러한 인간과 동물의 혼합물이었다. 이러한 주술적 형상에는 뿔이 달린 왕관을 쓰고 신성을 상징하는 날개 달린 형상, 장미꽃 머리띠를 한 날개 달린 형상, 새의 머리를 가진 날개 달린 인간 형상 등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었다.[13]

님루드 부조의 다른 인기 있는 주제로는 아시리아인들이 거둔 군사 원정과 승리가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것들은 아시리아인과 비아시리아인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15] 아시리아인들은 항상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비아시리아인들은 널브러져 있거나 뒤틀린 자세로, 대부분은 옷을 벗은 모습이었다. 이러한 그림들은 아시리아의 가치를 위반한 것에 대한 처벌, 그리고 범죄에 대한 무자비한 처벌로 폭력적인 죽음을 나타냈다. 이것은 다른 문화에서 온 방문 외교관들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아시리아 엘리트들에게도 그들이 왕에게 반항하기로 결정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한 경고로서 내재적으로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했다.[15]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는 1840년대에 칼후를 발굴하여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북서 궁전을 발견했다. 오늘날, 님루드에서 발굴된 많은 부조와 조각품들이 영국 박물관, 런던의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으며, 다른 부조들은 유럽(예: 국립 이집트 미술관, 뮌헨), 일본, 미국 등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3. 발라와트 문

아슈르나시르팔 2세 (기원전 883-859년) 시대의 발라와트 청동 문 조각, 대영 박물관


발라와트 문, 또는 "발라와트 청동 띠"는 발라와트(고대 임구르-엔릴)의 여러 건물 정문에 장식되어 있던 세 세트의 장식된 청동 띠이다. 그중 두 세트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 통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세 번째 세트의 청동 띠는 그의 아들 살만에세르 3세의 업적을 묘사한다.[7][8]

신아시리아 제국이 멸망하고 발라와트가 파괴된 후, 문의 나무 부분은 썩어 없어졌으나, 대부분의 청동 띠는 남아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은 원래 높이가 6.8m였다.[8]

이 문은 1878년 이라크 고고학자 호르무즈 라쌈이 대영 박물관 원정에서 처음 발견했다. 발라와트 청동 띠는 왕궁 출입구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런던에 영구 전시되어 있다. 1956년 맥스 맬로완 경은 꿈과 관련된 메소포타미아 여신 마무의 신전에서 두 번째 청동 띠 세트를 발굴했다. 이 띠는 모술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었지만,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약탈로 인해 대부분 사라졌다. 2008년 대영 박물관에서 이 띠에 대한 문서가 출판되었다.[7] 2015년 테러 공격으로 모술 박물관 유물 파괴가 더욱 심화되었다.

이 세트에는 쐐기 문자 비문을 포함하여 청동에 양각된 32개의 형상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기원전 9세기 아시리아와 주변 지역에 대한 풍부한 역사적, 미술사적 정보를 제공한다.[7]

4. 유산과 평가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통치는 아시리아 제국의 팽창과 번영에 크게 기여했지만, 잔혹한 정복과 억압적인 통치는 비판받기도 한다. 그의 통치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 긍정적 평가 ===' 섹션에서, 부정적인 평가는 '=== 부정적 평가 ==='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아시리아 멸망 이후 그의 궁전은 오랫동안 잊혔다가 19세기에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에 의해 재발견되어 고고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ISIL에 의해 파괴되는 비극을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 현대적 재조명 ==='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긍정적 평가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강력한 군사력과 효율적인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아시리아 제국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잔혹함으로 유명했지만, 정복 활동을 통해 아시리아의 영토를 확장하고, 페니키아로부터 조공을 받는 등 제국의 위상을 높였다.[19] 특히, 현지 지배자의 조공에 의존하지 않고 아시리아인 총독을 임명하여 제국 내 지배력을 강화한 것은 주목할 만한 업적이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칼후(님루드) 건설과 같은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아시리아의 문화와 예술 발전에 기여했다. 칼후에 건설된 궁전, 신전, 기타 건축물들은 아시리아의 부와 예술적 발전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특히 궁전 벽을 장식한 설화 석고 부조는 정교한 조각 기술과 함께 왕의 권위와 업적을 묘사하고 있다.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의 발굴을 통해 발견된 님루드의 유물들은 현재 영국 박물관을 비롯한 세계 각지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아시리아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4. 2. 부정적 평가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잔혹함으로 악명이 높았다.[2][3] 그는 정복지 주민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하고, 포로들의 신체를 훼손하는 등 잔혹한 행위를 일삼았다. 그의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있다.[4][19]

이러한 잔혹 행위는 피지배 민족들에게 깊은 원한을 남겼고, 잦은 반란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정복지에서 가혹한 공물과 세금을 부과하여[21] 경제적 착취를 자행했다. 이러한 가혹한 통치는 장기적으로 제국의 안정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4. 3. 현대적 재조명

아시리아가 기원전 612년에 멸망한 후,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궁전은 잡초로 뒤덮이고 매몰된 채 약 2,500년간 유지되었다. 1845년 영국 출신 고고학자 A.H. 레이어드가 궁전을 재발견하고 발굴을 감독했다. 이 과정에서 벽을 장식했던 부조들이 유럽과 북미 전역으로 보내졌으며, 대영 박물관이 가장 많은 님루드 부조를 소장하게 되었다.[13] 1947년부터 1957년까지 M.E.L. 맬로완이 재발굴을 진행했고, 이후 이라크 고대 유물 부서가 현장 관리 권한을 넘겨받았다.[13]

님루드 부조: 아슈르나시르팔 2세가 사자를 사냥하는 모습, 기원전 883–859년


이라크 박물관, 바그다드의 아시리아 갤러리, X관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금제 기단 정제(Tell Abu Marya)


아슈르나시르팔 2세 궁전의 모든 부조가 님루드에서 옮겨진 것은 아니다. 일부는 원래 위치에서 볼 수 있으며, 여러 박물관들은 궁전의 분위기를 재현하기 위해 원래 위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부조들을 전시하고 있다.

하지만 2014년 11월, ISIL 무장세력이 아슈르나시르팔 2세 궁전을 포함한 이라크 고고학 유적지를 약탈하고 유물을 암시장에 판매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런던에 본부를 둔 이라크 헤리티지의 전무 이사 아이멘 자와드는 "수억 달러 상당의 대체 불가능한 유물들이 테러리스트 자금으로 팔리고 있다"고 말했다.[16] 2015년 3월 5일, ISIL은 님루드 파괴를 시작했다고 보도되었으며, 현지 궁전은 불도저로 밀어버려졌고, 아슈르나시르팔 2세 궁전 입구의 라마수 조각상이 부서졌다.[17]

5. 님루드 부조 소장 박물관



님루드 부조는 현재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 흩어져 소장되어 있다. 님루드 부조를 전시하는 박물관들은 대개 부조를 원래 위치와 같은 형식으로 전시하여 궁전의 분위기를 재현하려 한다. 모든 부조가 님루드의 궁전에서 운반된 것은 아니며, 그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2014년 10월, ISIL(이슬람 국가) 과격파는 님루드의 아슈르나시르팔 2세 궁전을 포함한 이라크의 고고 유적의 많은 부분을 약탈하고, 유물을 암시장에 판매했다. 런던에 본부를 둔 Iraq Heritage의 이사(director) Aymen Jawad에 따르면, "안타깝게도 유럽과 미국에서 점토판 문서, 사본, 설형 문자 문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유물이다". 그는 "수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더할 나위 없는 작품이 판매되어 테러리스트의 자금원이 되고 있다"라고 말한다.[25]

5. 1. 미국

기관명추가 정보
오하이오주클리블랜드 미술관
미네소타주미니애폴리스 미술관[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winged-genius/VgG0_3mKv_isfQ 날개 달린 천재]
뉴저지주프린스턴 대학교 미술관[https://artmuseum.princeton.edu/collections/objects/34202 날개 달린 천재]
코네티컷주예일 대학교 미술관[https://artgallery.yale.edu/overall-search/ashurnasirpal 소장품]
일리노이주시카고 대학교 오리엔탈 연구소[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relief-from-palace-of-ashurnasirpal-ii-at-nimrud/AAGkq1pScmZFmQ?avm=4 부조]
매사추세츠주미드 미술관 (앰허스트)
매사추세츠주윌리엄스 칼리지 미술관 (윌리엄스타운)
매사추세츠주보스턴 미술관
뉴욕주브루클린 박물관
뉴욕주메트로폴리탄 미술관[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q=ashurnasirpal&perPage=20&offset=0&pageSize=0&sortBy=Relevance&sortOrder=asc&searchField=All 소장품]
뉴햄프셔주후드 미술관 (하노버)
메릴랜드주월터스 미술관 (볼티모어)
텍사스주휴스턴 미술관
텍사스주킴벨 미술관 (포트워스)
미주리주세인트루이스 미술관
미주리주넬슨-앳킨스 미술관 (캔자스시티)
버몬트주플레밍 미술관 (벌링턴)
메인주보든 칼리지 미술관 (브런즈윅)
캘리포니아주샌프란시스코 미술관, 명예의 전당 궁전
캘리포니아주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5. 2. 영국

대영 박물관에 전시된 북서 궁전의 부조


브루클린 미술관 소장 님루드의 부조


왕의 수행원의 동부. 이라크 님루드의 북서 궁전에서 발견. 아슈르나시르팔 2세 치세 중(기원전 883년 - 기원전 859년). 영국 글래스고 버렐 컬렉션

5. 3. 유럽

5. 4. 중동

다음은 아슈르나시르팔 2세와 관련된 유물이 있는 중동 지역의 박물관 목록이다.

국가도시박물관
이라크바스라바스라 박물관
이라크바그다드이라크 박물관
이라크모술모술 박물관
이라크술라이마니야술라이마니야 박물관
이라크에르빌에르빌 문명 박물관
튀르키예이스탄불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고대 오리엔트 박물관)


참조

[1] 서적 Ancient Iraq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 웹사이트 Ashurnasirpal II https://www.worldhis[...]
[3] 웹사이트 Ashurnasirpal II | king of Assyri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27
[4] 서적 Library of Universal History Vol 1 - Ancient Oriental Nations https://books.google[...] R.S. Peale J.A. Hill 1897
[5] 서적 The Ancient Assyrians Osprey
[6] 서적 History: From the Dawn of Civilization to the Present Day
[7] 웹사이트 The Balawat Gates of Ashurnasirpal II. https://www.academia[...]
[8] 웹사이트 The Balawat Gates of Ashurnasirpal II by J. E. Curtis; N. Tallis https://www.jstor.or[...] American Oriental Society 2009-07-01
[9]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Wiley Blackwell 2016
[10]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3000-323 BC Wiley Blackwell 2016
[11] 서적 "The Neo-Assyrian Period ca.1000-609 BC" in A Companion to Assyria John Wiley and Sons 2017
[12]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3000-323 BC John Wiley and Sons 2016
[13] 간행물 The Program of the Palace of Assurnasirpal II at Nimrud: Issues in the Research and Presentation of Assyrian Art
[14] 서적 The Mythology of Kingship in Neo-Assyrian A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Gesture and Alterity in the Art of Ashurnasirpal II of Assyria
[16] 뉴스 How Does ISIS Fund Its Reign of Terror? http://www.newsweek.[...] News Week 2014-11-06
[17] 뉴스 ISIL fighters bulldoze ancient Assyrian palace in Iraq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5-03-05
[18] 서적 Ancient Iraq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19] 서적 Library of Universal History Vol 1 - Ancient Oriental Nations https://books.google[...] R.S. Peale J.A. Hill 1897
[20] 서적 The Ancient Assyrians Osprey
[21] 서적 History: From the Dawn of Civilization to the Present Day
[22] 간행물 The Program of the Palace of Assurnasirpal II at Nimrud: Issues in the Research and Presentation of Assyrian Art
[23] 서적 The Mythology of Kingship in Neo-Assyrian A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간행물 Gesture and Alterity in the Art of Ashurnasirpal II of Assyria
[25] 뉴스 How Does ISIS Fund Its Reign of Terror? http://www.newsweek.[...] News Week 2014-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